본문 바로가기

잡기장

여름꽃 상사화

반응형

지난가을 누가 왕창 캐갔는데도 불구하고 남은 뿌리에서 꽃이 피었다.

상사화란 '화엽불상견 상사화 (花葉不相見 相思花)'에서 나온 말로

'꽃과 잎은 서로 만나지 못하지만 서로 끝없이 생각한다'는 뜻이다.

꽃무릇은 그늘에 숨어 무리 지어 핀다해서 붙인 이름이며,

돌 틈에서 나오는 마늘 모양의 뿌리라는 뜻에서 '석산'이라고도 불린다.

 

상사화와 꽃무릇에 대해 알아볼까요???

공통점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선형꽃차례 : 한 꽃대에서 여러 꽃이 방사형으로 모여 피는 모양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한다.

입이 없는채로 꽃대위에 꽃을 피운다.

 

 

차이점

 

사화 원산지는 한국이고,

꽃무릇의 원산지는 일본이에요.

 

상사화 학명은 Lycoris squamigera

꽃무릇 학명은 Lycoris radiata

 

상사화는 잎이 먼저 난뒤~ 잎이 지면 꽃이 피고,

꽃무릇은 꽃이 먼저 핀뒤~  꽃이 지면 잎이 나요.

 

상사화의 꽃줄기 높이는 50~70cm, 잎모양이 넓고,

꽃무릇의 꽃줄기 높이는 30~50cm, 잎모양이 좁아요.

 

상사화는 8~9월 사이에 꽃이 피고,

꽃무릇은 9~10월 사이에 꽃이 펴요.

 

상사화는 연보랏빛 또는 노란빛을 띄고,

꽃무릇은 짙은 선홍빛 하나예요.

 

상사화의 꽃말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고,

꽃무릇의 꽃말은 '슬픈 추억'이에요.

 

상사화의 종류에는 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 제주상사화, 백양꽃, 꽃무릇(석산)이 있고,

꽃무릇의 또다른 이름으로는 노아산, 산오독, 산두초, 야산, 붉은상사화가 있어요.

 

 

상사화는 꽃무릇의 상위개념!!!

그래서 꽃무릇을 상사화라고도 불리나봐요~

​하지만

 상사화와 꽃무릇은 같은 꽃을 말하는 건 아니지요!!!

                                                                    상사화

꽃무릇

반응형